예전엔 대사 하다가 갑분 노래로 이어지는 게 영 이상하다는 뮤지컬 반대론자(?)들도 종종 만나곤 했는데 요즘은 뮤지컬이 전혀 이상하지 않은 문화가 되었다. 나는 뮤지컬이란 단어만 들어도 가슴이 뛰고 기분이 좋다. 그토록 좋아하는 뮤지컬에 대해 얘기하려니 흥분이 되지만, 마음을 가다듬고 뮤지컬 이야기를 이어 나가보려고 한다.
뮤지컬의 구조
뮤지컬도 기본 토대가 스토리이기 때문에 기승전결로 나누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모든 것을 다 기억할 필요는 없다. 특별히 중요한 부분들을 표시해 두었으니 그것을 유의 깊게 보면 좋을 것이다.
기(起 - Introduction)
Overture(서곡)
무대 첫 시작에 노래가 없는 오케스트라의 연주가 시작되는데, 이곡이 서곡이다. 서곡은 극이 시작됨을 알려주고 뮤지컬 전반적인 분위기를 음악을 통해 보여준다. 때로 뮤지컬 전체에 나오는 멜로디 라인(주제)을 모아 들려주기도 한다.
Opening number
노래가 들어가는 첫 곡이다. 배경과 상황에 대한 설명, 뮤지컬의 스케일이 어느 정도 될지를 이 곡에서 볼 수 있도록 해준다. 전체 배우들의 등장해 관객의 이목을 한 번에 끄는 효과도 있다.
Exposition
주요 캐릭터 소개, 장소와 시대에 대한 설명적 내용을 포함한다. 이후에 주인공은 문제에 휩싸이게 된다.
승(承 - Development)
Show stopper
극과 아무런 상관이 없지만 뮤지컬적인 재미를 돋우고 분위기를 환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극에서 감초역할을 하는 인물이 등장해 갈등을 유보시키고 스토리 진행과 상관없이 노래와 안무를 하는 경우가 많다.
Production Number
극의 하이라이트에 해당하는 곳. 1부의 마지막곡이라고 보통 생각하면 쉽다. 극이 어느 정도 진행되어 문제가 가장 커지는 순간에 노래와 춤, 볼거리를 많이 제공하며 주인공이 극 전체에서 가장 큰 시련을 겪게 되는 상황이 된다.
전(轉 - Turn)
Opening Number
두 번째 오프닝이다. 2부의 시작을 알리며 관객으로 하여금 주인공의 갈등상황을 다시 한번 떠오르게 한다.
Reprise
앞에서 나왔던 곡이 한번 더 나온다. 주인공의 주제곡이나 배경을 나타내 주는 테마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관객으로 하여금 여운이 더 오래 기억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리프라이즈는 뮤지컬만의 특징적인 요소이다.
결(結 - Conclusion)
Ending
주인공의 갈등이 해결되며 긴장이 해소된다.
요즘은 이런 정석을 따르지 않는 뮤지컬도 많다. 그래서 모든 뮤지컬이 반드시 이러한 형식을 따른다기보다는 일반적 형식이 이렇다고 보면 될 것 같다. 중요하게 강조하는 것은 단 두 가지이다. 쇼 스토퍼와 리프라이즈. 뮤지컬이 갖는 독특한 특징적인 구조이다.
'깊게음악탐구 > 뮤지컬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뮤지컬의 넘버에 따른 구성 (2) | 2023.10.10 |
---|---|
뮤지컬 이야기 - 뮤지컬이란? (6) | 2023.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