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usical theory2

뮤지컬의 넘버에 따른 구성 이번에는 뮤지컬 넘버에 따른 분류를 해보려고 한다. 이 역시 기존의 유명한 몇몇 작품을 예시를 들어 이해를 도우려 한다. 여기부터가 찐이다. 아는 뮤지컬들이 있다면 클릭해서 음악을 들으면서 읽으면 더 재밌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뮤지컬 곡 분류 Lead Song(Theme song) 뮤지컬 전체를 이끌어가는 노래. 앞서 소개했듯이 “Production Number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다. 대개 감동적이면서 기억하기 쉽도록 작곡된다. 리프라이즈 넘버를 통해 자주 반복되어 관객에게 기억에 남도록 한다. 아래에 들어준 예시도 한 번이라도 해당 뮤지컬을 본 사람이라면 이 곡이 기억 날 것이다. 레베카 - Rebecca https://youtu.be/tU8dVCoF3aQ 개인적으로는 매우 팬인 뮤지컬 배우가 있.. 2023. 10. 10.
극 안에서 뮤지컬 음악의 구조 예전엔 대사 하다가 갑분 노래로 이어지는 게 영 이상하다는 뮤지컬 반대론자(?)들도 종종 만나곤 했는데 요즘은 뮤지컬이 전혀 이상하지 않은 문화가 되었다. 나는 뮤지컬이란 단어만 들어도 가슴이 뛰고 기분이 좋다. 그토록 좋아하는 뮤지컬에 대해 얘기하려니 흥분이 되지만, 마음을 가다듬고 뮤지컬 이야기를 이어 나가보려고 한다. 뮤지컬의 구조 뮤지컬도 기본 토대가 스토리이기 때문에 기승전결로 나누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모든 것을 다 기억할 필요는 없다. 특별히 중요한 부분들을 표시해 두었으니 그것을 유의 깊게 보면 좋을 것이다. 기(起 - Introduction) Overture(서곡) 무대 첫 시작에 노래가 없는 오케스트라의 연주가 시작되는데, 이곡이 서곡이다. 서곡은 극이 시작됨을 알려주고 뮤지컬 전반적.. 2023. 10. 10.